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잡담
- 안드로이드
- 자료구조
- 자바
- 이륜차
- Qt4
- 정성하
- c언어
- vuejs
- FFI
- Qt 소켓프로그래밍
- 마영전
- 양평역
- 디자이어HD
- 알람프로그램
- 오토바이
- 고속도로
- 재귀함수
- 엑티브엑스
- QTcpServer
- 윈도우7
- qt 설치
- android SAF
- Qt OpenGL
- 바이크
- Java
- HTML
- 스타크래프트2
- 스타2
- QT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74)
프로그래밍과 잡담
WSAStartup@8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에러를 볼 수 있다.. 그것을 해결 하기 위해서는 @pragma comment(lib,"ws2_32.lib") 이걸 하거나 프로젝트 속성의 추가종속성에다가 추가를 해주면 끝난다.
아 뭔가 어렵네 ...
근데 이게 누가 까는건지 모르니 ㅋ KT에서 까는거면 FTTH가 들어올 가능성도 있을법한데.. 그게 아니라면 좆망 ㅋ
어째서 Active X 따위를 쓰는거지? 로그인은 HTTPS로 처리하면 되고 게임 사이트 같은 경우는 플래시로 해서 실행을 하면 되는 데 말이야... 왜 그 더러운 플랫폼에 종속적인 거지같은 Active X를 쓰는지 이해를 할 수 없다. 제발 좀 쓰지 말자... 은행사이트도 마찮가지 Https를 사용하면 된다. 나머지는 별로 의미가 없어. 은행사이트에서 까는거 보면 키보드 관련된걸 하는거 같은데.. 왜 어째서 은행에서 로그인에 관련된걸 해줘야하는거지? 솔직히 암호를 해킹당했다 쳐도 어차피 보안카드 없으면 돈도 못뽑는데 말이지..ㅡㅡ 그리고 암호를 해킹당한거면 이용자의 잘못이지. 은행은 책임 없다. 근데 법적으로 책임을 지게 한다지? 병신도 아니고 원.. 외국 사이트들 들어가면 다 Https로 해서 한다...
제목 그대로.. 미디어법이 통과되었다. 근데 아주 의심이 많이 가는 법이기도 하고 이번 투표를 봐도 대리투표를 하지 않나. 아주 나라를 망하게 할려고 작정을 했나보다. 미디어법이 통과되면 사람들이 가장 우려하는 대기업들과 조중동의 거짓된 방송이다. 물론 100%다 거짓은 아닐것이다. 95퍼센트의 진실과 나머지 5%의 거짓을 쓸 것이다. 사람들은 그걸 100% 진실로 받아 들일 것이다.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면 인제 대한민국은 투표를 해도 거짓된 정보를 이용해서 자신이 뽑은 사람이 뽑히지 않고 딴나랑당만 뽑히게 될 것 이다. 그리고 대기업들이 부정부패를 저지른다 할 지라도 이미 언론을 장악을 했기 때문에 그런 소식은 사람들이 들을 수 없을 것 이다. 위에 썼듯이 최악의 경우다. 그리고 인터넷의 규제도 만들게..
사전 기능인데 상당히 쓸만한 듯 하다. 이름은 Dictionary Tooltip 이라는건데 괜찮다. 설치법: 파이퍼폭스 도구 메뉴-> 부가기능 -> 전체검색 탭에서 검색을 한다. 그런 다음 설치를 하고 재시작을 한다. 그래도 써도 상관 없은 없다. 하지만 영영사전이라는거.. 고로 추가를 해줘야한다. 도구 메뉴-> 부가기능 -> 확장기능 탭에서 Dictionary Tooltip 이라는게 있을것이다. 설정을 누른다. 그러면 영어로 어쩌구 저쩌구 나오는데 위에 보면 Add New Website라는 버튼이 있다. 나하고 창 배경색깔이 틀릴 수 있다. 나는 테마를 다른 테마를 쓰는거니까 신경쓰지말고 어쨌뜬 누르면 위에 처럼 나온다. 영어긴 하지만 그다지 어렵지 않으니까 Name에는 웹사이트 이름을 적던 알아서 이..
네이버 백과 사전에 이렇게 나오네 즉, 파시즘이 발생하게 되는 배경은 ① 국제적 대립과 전쟁위기의 격화 ② 대량적 실업과 공황 ③ 국내정치의 불안정 ④ 기존 정당 ·의회 및 정부의 부패 ·무능 ·비능률 등 병리현상(病理現象)의 만연 ⑤ 각종 사회조직의 강화에서 오는 자율적인 균형 회복능력의 상실 ⑥ 정치적 ·사회적 집단 간의 충돌의 격화 등을 들 수 있다. 왠지 꼭 우리나라의 상황을 보는것 같단 말이야 ..ㅡㅡ 이 미친 나라가 파시즘이 될려고 하나 ..왜 이러냐.
우리나라 금융권들을 보면 다 엑티브엑스를 설치 하라고 한다.. 다른 나라보면 그런게 없다. 왜 오직 우리나라만 그런걸까.. 과연 엑티브 엑스 말고 다른 대안은 없을까? 솔직히 엑티브 액스는 필요 없다고 본다.. 왜냐. https 를 쓰면 된다. 문제는 우리나라는 보안 문제는 은행에서 책임 지게끔 법이 그렇게 제정 되어있는지 엑티브엑스를 이용한 키보드 보안 모듈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 부분만 없엔다면 금융권에서는 그런 거지같은 엑티브 엑스를 사용할 필요 없다고 본다. 다른 외국 사이트들의 금융권 사이트를 들어가면 다 https로 되어 있다. 엑티브 엑스를 깔라고 나오지를 않는다. 현 금융권의 법을 빨리 바꿔야한다. 그리고 해킹으로 인해서 암호가 바뀌거나 한다면 그건 금융권의 잘못이 아니라 개인의 잘못인것이..
HSDPA 이니 와이브로 니 하면서 광고를 많이 때린다.. 근데 그딴게 중요한게 아니라 요금제를 잘 봐야한다. 와이브로 요금제.. 1기가 월1만원 30기가 월 19,800원 50기가 월 27,000원 의무기간 12개월 (아주 돌았지요) 게다가 이건 지역도 아주 대도시 아닌 다음에는 되지도 않는다 그냥 병신 HSDPA 요금제 레귤러 2기가 짜리 29,900원 프리미엄 4기가짜리 45,000원 위에 요금제를 보면 아주 제대로 돌았다는것을 볼 수 있다. 사람들이 원하는거는 돈을 일정하게 내고 무제한으로 사용하는걸 원한다. 이딴 거지같은 정량제를 원하는게 아니라. KT나 SK놈들은 돈독이 올랐는지 이딴 거지 같은 요금제를 내세우고 있다. 솔직히 2기가 4기가 한달이 아니라 3일이면 다 써버릴 수 있을 정도로 매..
함수 포인터를 안쓴거 같네.. 그래서 쓴다.. 함수 포인터란.. 포인터와 같이 함수를 가르키는 포인터이다.. 일반 적인 포인터는 변수를 가르키지만 함수 포인터는 함수를 가르킨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int add(int a, int b); //이런 함수 가 있다. int (*pAdd)(int,int); //이건 함수 포인터이다. pAdd = add; //이렇게 사용하면 된다. int b = pAdd(5, 6); //결과 b = 11 이렇게 사용하면 된다. 주의 해야 할께 있는데 함수 포인터는 반드시 원형에 맞춰서 만들어야한다. void (*pAdd)(int,int) // 이렇게 하면 안된다. 마찬 가지로 int (*pAdd)(double,int) //이렇게 써도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