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QT
- 알람프로그램
- 잡담
- 스타2
- 오토바이
- 엑티브엑스
- 정성하
- 스타크래프트2
- 바이크
- QTcpServer
- vuejs
- Java
- 윈도우7
- qt 설치
- c언어
- 자료구조
- Qt OpenGL
- Qt 소켓프로그래밍
- FFI
- HTML
- 자바
- Qt4
- 재귀함수
- 디자이어HD
- 안드로이드
- 마영전
- 이륜차
- 고속도로
- android SAF
- 양평역
- Today
- Total
프로그래밍과 잡담

좆같은 구글이 폴더에 접근방식을 개같이 만들어 버렸다. 아마 애플이 이딴 방식으로 되어 있겠지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타겟버전을 무조건 29 이상으로 안하면 스토어 앱을 못 올린다. 아직 29까지는 manifests 에 예외 기능을 넣어서 기존 처럼 사용이 가능하지만 언제 타겟 버전을 30으로 올릴지 모른다. 여하튼 여태까지 접근 하던 방식인 File 클래스를 통한 접근은 더 이상 동작하지 않는다. File("/sdcard/").listFiles() // 이렇게 하면 null 떨어짐 구글 새끼들이 쓰라고 하는 방식은 공용 폴더는 MediaStore 인가 뭔가 써서 접근 하라고 하고 일반 폴더는 SAF(Storage Access Framework) 를 쓰라고 한다. 사실 이거 나왔을 때 잘 안썼다. 쓰기가 ..
초창기의 개방형 OS가 아닌 점점 애플 iOS 처럼 폐쇄적으로 가는거 같다. 왜 그러냐 하면은 점점 저장소에 대해서 iOS 처럼 바뀌고 있다. 최근 타겟 버전을 29버전 이상으로 강제하고 있다. 이 버전부터는 앱이 내부 폴더 이외의 장소에는 접근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안드로이드 앱의 앱 내부 저장소는 /data/data/앱이름 으로 되어 있는데 이 아래의 정보만 접근이 가능하다. 그외에 공용 폴더는 접근이 가능하다. 그림, 동영상 이딴거 말이야. 예전에는 폰의 내부저장소(/sdcard), 외부저장소( /storage/123-123) 에 바로 접근을 할 수 있다. 근데 지금은 접근을 할려면 Storage Access Framework 를 써야한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11버전에선 저장소의 루트 폴더에 ..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 감상이랄까? 이 게임은 여로모로 말이 많은 게임이다. 드디어 오늘 이 게임의 엔딩을 보았다. 특히 인터넷에서는 불호인 사람들이 특히나 난리를 피우며 욕을 해대는 거 처럼 재미가 없을 줄 알았는데, 뭐 아주 구린 스토리라고 볼 수도 없구만. 일단 내 먼저 내 감상의 결론을 내리자면 그렇게 까지 욕을 들어먹어야하는 게임인가? 라고 생각함. 즉 내 입장에서는 나쁘지 않다는 말임. 아래부터는 라스트 오브 어스 1편과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에 대한 스포일러가 많이 포함됨 더보기 아마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를 욕하는 사람은 대부분 초반의 조엘이 죽는 파트 때문일 것이다. 갑자기 왠 페미들이 좋아 할 법하게 생긴 여자가 나와서 조엘을 졸라게 고문하고 조엘의 뚝베기를 골프채로 깨버리니까 충..
지하철에서 어떤 또라이같이 생긴놈이 옆에 턱스크를 하고 앉아서 기침을 하고 지랄하더라. 아오 씨바 짜증나.. 존나 패버리고 싶었다. 경의중앙선은 이상하게 또라이같은 놈들이 많은거 같어 ..

내꺼 컴퓨터가 이상한건지 아니면 유투브가 이상한건지 위의 나의 아이콘을 클리하면 원래 아래와 같은 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는데 아래와 같이 로딩 아이콘만 표시되고 진행이 안된다. 아래의 스크린샷은 왼쪽이 오류고 오른쪽이 정상이다. 근데 안나오고 로딩하는 아이콘 표시되고 아무것도 안나온다. 물론 구독목록을 눌러서 표시가 안되고 빈 공간만 나온다. 그래서 개발자모드로 해서 보니까 ajax post 401에러가 뜨더라구 왜 그런가 그래서 지웠다가 깔아보기도 하고 그랬는데 안됨.. 물론 크롬에서는 잘 된다. 그래서 혹시나 해서 http2 가 문제 인가 해서 그걸 about:config 에서 비활성화 했더니 되네. 일단 다시 또 그러는지 봐야 할거 같긴 하지만 지켜봐야지. 이거 때문에 짜증나네. 아 망할 구글 새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