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QT
- 바이크
- HTML
- Qt4
- 안드로이드
- 스타2
- 고속도로
- FFI
- Qt OpenGL
- 디자이어HD
- Qt 소켓프로그래밍
- 재귀함수
- 자료구조
- android SAF
- QTcpServer
- c언어
- 자바
- 이륜차
- 오토바이
- 엑티브엑스
- 윈도우7
- 스타크래프트2
- vuejs
- qt 설치
- 잡담
- 마영전
- 정성하
- Java
- 알람프로그램
- 양평역
- Today
- Total
프로그래밍과 잡담
일단 C# 인거 같으니까 C#으로 범주를 셋팅함. 다른 언어도 비슷할거 같은데, 실험은 안 해봤으니까 일단 잊기 전에 적어 놓는다. C# 에서는 Parallel 이라는 병렬 처리 기능이 있음. 이름부터 병렬이라는 뜻이니, 병렬연산을 할 때 사용 하라고 마소에서 만든거다.. 근데 이거를 사용하면 30초 걸리는게 5~6초 줄어든다. 내꺼 cpu에서 말이지. 내 cpu는 5900x라 24쓰레드까지 지원한다. 그러니 8코어는 더 걸리겠지. 여하튼 이게 중요한게 아니라, Parallel을 사용 하고 그대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결과 값을 어느 한곳에 집어 넣고 결과를 처리 할 것이다. 근데 말이야 그게 결과들을 리스트에 집어 넣는 경우에 문제가 되는거 같음. 멀티쓰레드에서 발생하는 문제 말이다. 데이터 경..

한 2주전에 주문한거 같은데 오늘 도착해서, 바로 개조를 했다. 아 근데 주문을 잘못했네, 버튼 4개짜리인줄 알았는데 2개짜리를 사버렸네 ㅅㅂ.. 저렇게 뒤에 씌우는 껍데기도 다 같이 옴. 어차피 개조하는 김에 엑박 엘리트 패드 처럼 아날로그가 교체 할 수 있는 개조 부품도 팔길래 그것도 구매함. 내가 주로 사용하는 버튼들은 L3, R3 버튼이기에 이 버튼들을 맵핑 할려면 납땜이 필수 이다. 근데 뭐 납땜이라고 하지만 그렇게 어렵지도 않음. 너무 길게 지져가지고 동판이 떨어지게 만들지만 않으면 쉽게 할 수 있다. 기존 부위에다가 PCB 올리고 떨어지지만 않게 빠르게 납으로 붙이면 됨. 꽉 붙이겠다고 열라게 지져서 조지지 말고 그냥 유투브 보면 방법 나와 있으니 그거 보고 따라하면 된다. 아날로그 버튼은 ..
이노무 CORS 염병할 것 때문에 계속 삽질을 했네. 삽질을 했던 이유는 Axios로 get 이던 post 던 간에 jwt token을 헤더 넣고 호출 했을 때, // 이런 식으로 호출 했음.. const header = { Authorization : token } const url = `${this.$store.getters.SERVER_URL}/service` Axios.get(url, { header, withCredentials: true }) .then( resp => { console.log(resp) }) .catch( err =>{ console.info(err) }) Spring boot의 필터 부분에서 해당 헤더 부분을 읽을 수 없는거였음. 정확히는 헤더 중에 Authorization..

엄마 차가 오래되서 바꿀려고 했는데, 스파크나 모닝산다고 한걸 말려서 SM3 네오 18년식 중고로 구입했음. 나도 모닝을 탔었지만 경차는 안전성 때문에 그닥 추천 안함. 뭐 말로는 튼튼하다 어쩌다 그러는데 크기가 작으면 사고시 엔진이 밀고 들어 올 수 있거나 뒤가 작아서 사고 시에 불리한거 어쩔수 없는 사실임. 일단, 선택 사항 중에 현대기아는 제외 했음. 비싸거니와 혹시 모를 급발진이 있을 수 있는 차기때문에 엄마차로 사기에는 별로 였음. 그래서 찾던 중에 쉐보레나 르노쪽을 보다가 SM3가 있는데 가성비가 괜찮더라구. 뭐 내부가 좀 싼마이한 단점이 있는데, 그래도 가격대비 년식이나 키로수가 너무 좋더라구. 18년식 인데 1만 9천밖에 안탐 ㅋ 그래서 중고차 사이트를 보던 중에 내가 타고 있는 차도 케이..
이거 어이가 없네. 시리얼통신을 통해서 정보를 가져오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윈도우에서 돌릴 때는 메모리 오류가 없는데 이게 라즈베리 파이로 올라가서 돌으니까 메모리릭이 발생하네. 이런 골때리게 동작을 해서 실수한 부분인데, 결국은 내 실수 였음. 여하튼 문제점이 뭐였는지 이제야 찾았네 SerialPort 클래스를 열고(Open) 계속 Write를 하니까 버퍼에 데이터가 계속 쌓이는 문제였던거 같음. 이 빌어먹을 마소놈들이 윈도우는 버퍼를 플러시를 하는거 같은데 리눅스에서는 안하는거 같음. 여하튼 그래서 전송 방식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였다. 전송 시 SerialPort를 열음 데이터를 수신 받으면 닫음 (내꺼 같은 경우에는 여러 기기에 던져야하므로 시간 셋팅해서 안오면 닫음) 위의 과정을 반복하니까 메모리..